안녕하세요 돼지대장입니다!
오늘은 요즘 HOT한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려고 해요.
벌써 70만명 넘게 가입한 이 계좌는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고
가입하는 것이 과연 좋은 건지도 알아볼 거예요!
또 가입을 한다면 어느 정도로 하는 것 이 좋은지
안 한다면 이보다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는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에 대한 제 생각도 공유해 보려 합니다!
일단 청년도약계좌가 무엇인지는 알고 있어야겠죠?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 동안 최대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서 최대 금리 6%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이에요.
한마디로 5년 동안 월 70만원씩 열심히 모은다면
정부가 지원금이랑 비과세 혜택을 주면서
5년 후에는 5천만원 가까이 모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책형 상품이죠.
가입조건도 빠르게 살펴볼게요.
첫 번째 나이가 만 19세에서 34세일 것
두 번째 가이드 기준으로 직전 과세 기간 총 급여액 이 7,500만원 이하일 것
또는 종합소득 금액이 6,300만원 이하일 것
세번째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80% 이하일 것
네 번째 직전 3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의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사람일 것
이 모든 조건이 해당이 되야 신청이 가능한데요!
그럼 한번 현실적으로 계산해 볼까요?
요즘은 받아도 200만원 정도는 받을테니까 현실적으로 4,800에서 6000만원 정도 받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요.
요 구간인 분들이 60개월 모두 70만원 꽉 채웠다고 생각을 해보면
최대 정부지원금을 21,000원 받을 수 있으니까 곱하기 60개월에서 1,26만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우대금리까지 받아서 최대 6% 이자를 비과세로 받으면 640만원 정도 이자를 받게되죠.
그래서 매월 70만원씩 납입했을 경우 원금이 4,200만원 + 이자와 지원금 합한 금액 766만원
총 4,966만원이 모이게 되는 거에요!!
근데 사실은 이 정도까지 못 받아요. 그 이유는 뒤에 설명해 드릴게요ㅠㅠ
결론적으로 말하면 전 이걸 70만원 꽉 채워서 가입하는 걸 추천 드리지는 않는다는 거에요.
첫 번째 이유는요.
5년이라는 시간이 정말 길어요.
한번이라도 5년 이상 적금을 들어본 사람이라면 말이 필요 없을거에요.
특히 2030은 변화가 정말 많은 시기잖아요.
결혼, 출산, 이직 같은 이런 이벤트가 2030에 정말 많이 일어나는데요.
그래서 중도 해지할 확률도 매우 높다고 생각을 해요.
중도해지 할 경우에는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모두 못 받게 돼요.
물론 중도해지 예방을 위해 적금 담보대출도 해주는데요.
이 적금 담보대출 금리가 신용대출 금리보다 높다는 거 알고 계신가요?
지방은행을 제외하고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은행 등은 신용대출 금리는 5%대지만
적금 담보대출 금리는 6%대입니다.
해지를 막기 위해서 담보대출을 해주는 건데.......
이게 신용대출 이자보다 높으면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가 있겠죠...?
두 번째 이유는요
고정금리가 3년, 변동금리 2년으로 생각보다 이자가 작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에요.
현재 기준금리는 3.5%로 조금 높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3년 후에 과연 이 금리보다 기준금리가 높아져 있을까요? 아니면 낮아져 있을까요
물론 100% 확신할 순 없지만 여러 경제 전문가들의 의견과 마찬가지로 좀 낮아져 있을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봅니다ㅠㅠㅠ
그러면 변동금리 2년 동안의 이자는 더 줄어들겠죠.
제가 앞에서 4966만원 다 못 받는다고 한 이유가 이거예요.
더불어 청년도약계좌는 1년마다 소득을 다시 점검하는데요.
소득이 높아져서 정부지원금이 없어지면 그만큼 또 메리트가 없어지는거에요.
마지막 세 번째!! 세 번째가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
기회비용 측면에서도 좀 망설이게 하는게 사실입니다.
미국 증시가 고점에서 20% 이상 폭락하는 장을 배어마켓이라고 하는데요.
이게 5년에 한 번씩 평균적으로 찾아왔어요.
이때만 투자해도 10% 이상 수익을 얻는 건 크게 어렵지가 않아요.
대형마켓에서는 대세 하락장으로 진입하는 것은 아닌지, 하락장이 언제 끝날지 모른다는 공포 때문에
시장 진입이 두려워집니다.
하지만 본능을 이겨야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말도 있잖아요.
이때 진입하면 위험 대비 수익성은 반대로 매우 높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을 보면 갭 몇 천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회가 또 오고 있거든요.
아파트가 소득대비 고평가되고 있는지 저평가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지표가 pir인데요.
이거를 09년도부터 23년도까지 평균을 구해봤을 때
지금이 평균만큼 내려온 도시가 보입니다.
그만큼 하락한 상태라는 것이죠.
그렇게 되면 투자 매력도가 높은 곳이 생겨나고 있다는 거죠.
결론적으로 저라면 저축 가능금액 한 30%에서50% 정도만 계좌에 넣어둘 것 같습니다.
제가 만약에 저축 가능금액이 100만원이라고 할게요.
그러면 30만원 정도 청년 도약계좌에 넣어놓고
나머지 70만원은 하루만 넣어도 3% 이상 이자율 주는 파킹 통장에 넣어 놓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자도 받고 공모주 같은 거에도 활용을 할 것 같아요
매월 공모주에만 투자를 해도 평균적으로 월 10만원 정도 버는 거는 초보자들도 그렇게 어렵지 않거든요.
그러면서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주 종목을 정해서 투자 공부를 깊게 한번 해볼 것 같아요.
물론 사람마다 성향도 다르고 목표하는 수익률이 다르잖아요
하지만 무작정 비과세이자 정부지원 혜택이라는 말만 듣고
청년도약계좌에 대부분 저축하기보다는
이직을 하든 부업을 하든 소득을 높이고 투자 공부를 하는게
장기적으로는 훨씬 더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어떤 상품에 가입하거나 투자를 결정할 때
오목이론을 염두에 두시면 더욱 현명한 선택을 하실 수 있을 거예요.
우리 모두 돈많이 버는 그날까지 !!
돼지대장이었습니다!
그럼 안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킹통장 아직도 고민하시는 분들 계신가요? (0) | 2023.07.04 |
---|---|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 정책을 아시나요? 정부 지원금!!! (0) | 2023.07.03 |
7월부터 전국민 혜택이 내린대요~ (0) | 2023.07.02 |
'7월' 정부지원금에 대해 알아보아요! feat. 에너지 캐시백 제도 (0) | 2023.07.02 |